[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미얀마 최악의 유혈사태 "하루에만 최소 38명 사망" 外
미얀마 군경이 또 쿠데타를 규탄하는 시위대에 발포해 어제 하루에만 3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날씨가 따뜻해지고 대학교의 봄 방학이 시작되면서 또 다시 코로나19 급증 우려가 커졌습니다.
하루 공항 이용객이 100만 명을 넘고 해변에 휴양객이 몰려들고 있습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미얀마 군경의 시위대를 향한 발포가 멈추질 않고 있습니다.
일요일인 어제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다고요.
[기자]
미얀마 군경이 일요일인 14일에도 쿠데타를 규탄하는 시위대에 발포해, 3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지 한 달 보름 만에, 유혈진압에 따른 누적 사망자가 100명을 넘었습니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양곤 내 두 곳에 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버기너 유엔 미얀마 특사는 군부가 국제사회의 자제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며 유혈사태를 규탄했습니다. 미얀마의 우방인 중국도 나섰습니다. 미얀마 주재 중국대사관은 미얀마에 모든 폭력 행위를 중단할 보다 효과적인 조처를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에 대응해 세워진 별도의 문민정부 대표가 군부를 뒤집고 혁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연방의회 대표 위원회'가 임명한 만 윈 카잉 딴 부통령 대행은 은신처에서 진행한 페이스북 연설에서 "지금은 이 나라에 가장 어두운 순간이지만 여명이 멀지 않았다"면서 "시민들이 군부의 탄압에 맞서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시민들이 군부 탄압에 강력히 맞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미국 정가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과 비공개 접촉을 시도했다는 보도가 어제 종일 이어졌는데요. 이런 시점에, 미 국무장관과 국방장관이 오늘(15일)부터 일본과 한국을 방문합니다. 검토 중인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자]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드는 분위기입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북한의 핵개발을 막지 못하고 상황을 악화했다는 문제 의식 아래 기존 정책을 다시 들여다보며 검토하는 과정을 진행 중입니다. 최근 검토를 어느 정도 끝내고 본격적인 대북 접촉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우선, 미국은 지난 달 중순부터 뉴욕을 포함한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접촉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노력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가 한창 진행 중인 와중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구체적인 내용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북한에 모종의 메시지를 던질 만한 수준으로 검토가 무르익었다는 방증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가 마무리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하는 발언도 나왔습니다. 성 김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대행은 "몇 주 안에 검토를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미 국무장관과 국방장관이 나란히 오늘(15일)부터 18일까지 취임 후 첫 순방으로 일본과 한국을 방문하는 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이번 순방은 한국과 일본의 의견 수렴 외에 미국이 검토한 대북 정책 노선과 기조를 설명하고 대북정책 이행 과정에서 엇박자를 내지 않도록 두 나라의 협조를 당부하는 자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소식으로 넘어가보죠. 미국에서는 날씨가 따뜻해지고 대학교의 봄 방학이 시작되면서 또다시 코로나19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면서요.
[기자]
미국에서 하루 공항 이용객이 100만명을 넘고 해변에 휴양객이 몰려들고 있습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CDC가 가장 우려하는 건 여행에 따른 확산입니다. 금요일인 지난 12일 미국 공항에서 수속을 밟은 인원이 130만명을 넘었으며 이는 2020년 3월 15일 이후 최고치입니다. 특히 미국 대학교들이 봄 방학에 들어가면서 플로리다주 해변에는 이미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미 지난해 독립기념일과 추수감사절, 성탄절 등 연휴에 여행객이 늘고 확진자가 급증하는 패턴이 이어진 바 있습니다. 지금 여행 규모가 지난 추수감사절 때랑 거의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은, 확진자 급증 가능성을 경고하며 방역지침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파우치 소장은 특히 '백신 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공화당 지지자들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접종을 독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줄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상태이며, 변이에 따른 확진 급증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앵커]
백신 접종과 함께 중요한 게 사회적 거리두기인데요. 특정 조건에서는 거리두기 간격이 현 2m에서 1m로 바뀔 수도 있다는 소식이 들리네요.
[기자]
기존 '1m' 거리두기가 감염병 확산 방지에 효과가 있는지를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CDC가 연구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파우치 소장은 CDC가 코로나19 확산 억제에 1m가 적당한 거리라고 확인한다면 기존 지침을 바꿀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파우치 소장의 이 같은 발언은, 보스턴의 한 의료센터 연구진이 수업을 진행한 학교에서 2m 거리두기와 1m 거리두기 간 감염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고 분석한 연구결과와 관련된 겁니다.
언론에서는 파우치 소장의 발언이 전 세계적으로 2m로 통용되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해 핵심 원칙을 바꿀 수 있는 움직임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정한 조건에서 '1m 거리두기'가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 학교는 물론 사무실, 스포츠 경기장 같은 공공장소의 방역 지침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번에는, 코로나19 백신 소식 살펴볼까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공급을 둘러싸고 유럽연합에서 회원국 간에 마찰이 있다고요.
[기자]
아스트라제네카의 유럽연합 EU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공급에 또다시 큰 차질이 빚어지면서 ...